레이블이 요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요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9년 10월 24일 목요일

요리실패 후기2

메추리알 피클이 되고 싶었던 메추리알 식초절임이 반나절 지나고 맛이 익었는데

딱 마요네즈에서 기름만 없는 맛. 마요네즈가 기름 식초 계란으로 만들긴 하지만 이처럼 비슷할 줄이야

맛은 있는데 속엔 별로 안 좋은 느낌

두부 탕수가 되고 싶었던 두부 식초 절임은 맛이 그리 나쁜건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두번 해 먹고 싶진 않은 맛.

결국 이 모든것들은 장조림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오이 당근 피클은 너무 물렀고 장아찌 처럼 된게 별로다. 첫날엔 잘 만들었는데 두번째 시도가 이리 망할 줄이야...

요리 실패

오렌지 주스 와 초코케익 믹스는 실패다. 오렌지 주스가 그다지 달지도 시지도 않은 밋밋한 맛에 향도 덜하고, 초코케익 믹스는 좀 어중간하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전에 초코 브라우니에 바나나 우유를 넣은 것은 은은하게 어울려서 좋았는데 이건 정말 아무런 느낌도 없다. 초코케익 믹스가 별로일수도 있으나 주스도 문제겠지. 아무튼 이건 실패. 초코케익 믹스는 그냥 봉지 윗부분 잘라다가 물붓고 반죽 만들어 전자렌지에 돌리면 되서 간편하고 잘 떨어져 나오긴 했는데 맛은 그저 그렇다. 회사 이름이 기억 안 나네. 고구마 케익  믹스랑 같은 제품인데. 백설 큐원이었던가.


파인애플 식초와 피클도 실패. 파인애플 식초가 생각보다 당도도 산미도 파인애플하고 아무런 접점 없었고, 그저 신 향과 시큼함만 엄청 코와 혀를 찌른다. 차라리 일반 사과식초를 쓸 걸.

메추리알도 전혀 간이 안 배는데 물론 간장 장조림때도 바로 간이 배진 않았으나 이건 그냥 겉만 좀 신맛 날 뿐 피클 같은 느낌도 안 든다. 그럼에도 맛이 있는 것을 보면 메추리알 이 녀석은 정말 무서운 녀석이다. 요리가 망했는데도 맛있다. 안의 노른자가 담백하게 간을 중화시켜 끊을수가 없게 만든다.

같이 넣은 당근과 오이는 이전에 만든 피클 맛이 안 나는데 내가 너무 소금을 더 넣어서 장아찌 처럼 되어버렸다. 이상하게 나는 간을 맞추면 양을 못 맞추고 양을 맞추면 간을 못 맞춘다. 아무튼 장아찌 느낌이라도 아주 못 먹을 정도는 아니라서 담가두긴 했다.

두부를 그 식초 남은 것에 끓여서 탕수 두부 처럼 하려 했으나 아마 이것도 실패겠지. 아직 간은 안 봤다. 그런데 엄청 탱글하게 탄력이 강해지긴 했다.

내일은 아몬드 브리즈 음료랑 초코 브라우니를 할지 아니면 그냥 고구마 케익에 넣을 바나나 우유 남는걸 넣을지 고민. 일단 그 아몬드 음료를 살짝 맛 본 다음 어울릴지를 판단 해야겠지  초코 브라우니랑 바나나 우유는 잘 어울리긴 하는데 말이지.

핫케익믹스에 바나나 우유랑 딸기 우유를 실험했을 때는 바나나 우유가 풍미가 묻힌 반면 딸기 우유는 남아 있어서 핫케익은 딸기가 더 어울리긴 했지만..

2018년 10월 19일 금요일

최근에 건드렸던 요리 소스 이야기

파운틴 핫칠리 소스 -

요 전에 한솥 도시락에서 깐쇼 칠리 새우를 먹었었는데 그 칠리소스가 보통의 스위트 칠리보다는 좀 더 매콤하고 입에 감기는 맛이어서 인상 깊었다. 그런데 그 소스를 마트에서 비슷한거라도 찾아 보고 싶었는데 영 죄다 스위트칠리였다.

그런데 이 파운틴 핫칠리는 좀 비슷하게 많이 매콤하다. 다만 그 깐쇼칠리보다는 맛이 다른 점은 단맛이 덜하다는거라서 비슷하게 맛을 내려면 살짝 열을 가해주거나, 설탕을 좀 넣으면 될듯. 이 칠리소스도 열을 가하면 매운맛이 많이 사라진다.


이금기 중화 XO 소스 매운맛 -

이게 그 재료의 해산물 특유의 비린내랄까 쿰쿰한 향이 강하다. 맛은.... 그다지. 비싼 값을 못 한다. 맛있어서 비싼게 아니라 들어간 재료가 비싸서 비싼것일 뿐.


애초에 이 소스가 활약 할 수 있는 요리가 일반인의 요리와는 거리가 멀다. 그냥 볶음밥 해 먹으면 내가 이러려고 그 비싼 값을 치뤘나 싶을 정도.


정말로 궁금하겠지만 굳이 사서 해 먹을 정도까지는 아니다. 얼마나 별로냐면


차라리 굴소스나 고추마늘소스가 더 나을것이고, 심지어 케찹에 밥을 볶아도 이 정도로 허무하진 않을거라는 것.


이금기 중화고추마늘 소스 -

제육볶음용으로는 매우 좋다. 처음 이걸로 돼지고기랑 같이 구워서 먹었을 때는 뭐지. 뭐가 이렇게 땡기지 싶을 정도로 계속 찾게 되었다. 그런데 두번째, 세번째 구웠을 때는 양을 좀 못 맞췄는지 그렇게까지 땡기지가 않았는데, 참 미묘한 조미료다. 그 황금의 밸런스만 찾아 낼 수 있다면 좋을텐데.


문제는 이 소스가 내가 주로 가는 매장에서 자취를 감춰 버렸다. 지금은 두반장하고 마파두부 소스만 있는데, 이게 두반장하곤 좀 다른 맛이란 말이지. 아무래도 지금 먹고 있는 소스를 다 먹으면 근처 지하철역 마트쪽을 찾아 봐야 할 듯.


요리하다 씨푸드 칵테일 소스 -

겉표시 부분에는 뭐 케찹이니 핫소스니 타바스코페퍼소스니 매운맛으로 무장한거 마냥 으름장을 놓는데


다 헛소리다. 저 위 파운틴 핫칠리소스만큼도 안 맵다. 아니 맵다 안 맵다 이전에 케찹도 핫소스도 그런 느낌이 없다. 오히려 들어간 재료 중에 우스타 소스가 있는데, 이 우스트 소스의 향과 맛이 더 강하다.

아무리 우스타 소스가 거진 만능에 가깝게 좋긴 하나, 이 소스는 우스타 소스가 전부 다 씹어먹어서 기대와는 전혀 다르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나는 우스터 소스 자체는 좋아하니까 이걸 볶음밥에 한번 써 먹어 보고, 정 아니면 좀 용도를 써 먹게 머리를 굴려 봐야지. 일단 아직 볶음에 써 먹지 않았으니 나중에 더 활용 해 보고 내용 추가 할 예정.


p.s 역시 그나마 볶아 먹는데 쓰는게 낫다. 우스터 소스 맛이 강해서 칵테일 소스는 모르겠고, 아무튼 이쪽이 그나마..